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5가지 투자성향 별 특징 (투자성향 테스트) 목차 1. 투자성향 - 안정형 - 안정추구형 - 위험중립형 - 적극투자형 - 공격투자형 2. 투자성향 테스트 5가지 투자성향 안정형 안정형은 예금이나 적금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하며, 투자원금에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유형입니다. 원금손실의 우려가 없는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CMA와 MMF 등의 상품이 추천됩니다. 안정추구형 안정추구형은 투자원금의 손실위험은 최소화하고 이자소득이나 배당소득 수준의 안정적인 투자를 목표로 합니다. 다만 안정추구형은 수익을 위해 단기적인 손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을 위해 자산 중의 일부를 변동성 높은 상품에 투자할 의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채권형펀드가 적당하며, 그중에서도 장기회사채펀드 등이 좋습니다. 위험중립형 위험중립형은 안정과.. 2023. 9. 13.
투자성향 테스트 투자성향 테스트 1. 당신의 연령대는? ① 19세 이하 ② 20세~40세 ③ 41세~50세 ④ 51세~60세 ⑤ 61세 이상 2. 투자하고자 하는 자금의 투자 가능 기간 ① 6개월 이내 ② 6개월 이상~1년 이내 ③ 1년 이상~2년 이내 ④ 2년 이상~3년 이내 ⑤ 3년 이상 3. 다음 중 본인의 투자경험과 가장 가까운 것은? (중복 가능) ① 은행의 예·적금, 국채, 지방채, 보증채, MMF, CMA 등 ② 금융채, 신용도가 높은 회사채, 채권형펀드, 원금보존추구형ELS 등 ③ 신용도 중간 등급의 회사채, 원금의 일부만 보장되는 ELS, 혼합형펀드 등 ④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 주식,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ELS, 시장수익률 수준의 수익을 추구하는 주식형펀드 등 ⑤ ELW, 선물옵션, 시장수익률 이상의.. 2023. 9. 13.
Z세대 금융트렌드 자이낸스와 금융 마케팅 사례 목차 1. 자이낸스 2. Z세대와 자이낸스 특징 - 디지털 네이티브 - 자본주의 키즈 - 펀슈머 3. 자이낸스와 금융업계 변화 - 금융트렌드와 마케팅 사례 자이낸스 자이낸스(Zinance)는 'Z세대의 Z'와 '금융(Finance)'의 합성어로 Z세대가 이끄는 금융 트렌드를 뜻합니다. 여기서 Z는 아래의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Zgeneration driven - Z세대가 이끌고 Zig zag - 급격한 변화가 생긴 Zero base - 새로운 기반의 금융 이는 투자와 금융의 영역을 자연스러운 생활로 받아들이고 모바일 기반의 금융 서비스들을 적극 활용하는 Z세대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Z세대와 자이낸스 특징 Z세대는 1990년대 중후반에서 2000년대에 걸쳐 태어난 세대를 지칭합니다. 1. 디지털 네이티브.. 2023. 9. 11.
금융경제 용어 모음.zip(큐코노미,쉬코노미,휘소가치,파이어족) 금융경제 용어 큐코노미 큐코노미는 '격리(Quarantine)'와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코로나19에 따른 격리 및 봉쇄 조치 이후 변화된 경제를 뜻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외출 제한, 재택근무 등 비대면 활동으로 외부 접촉이 줄어들고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유통, 서비스업, 제조업 등에 많은 영향을 주며 경제에 큰 타격이 되면서 만들어진 용어이니다. 이와 비슷한 용어로 '홈코노미'가 있는데요. '집(Home)'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집안에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이뤄지는 것을 뜻합니다. 코로나19를 통해 집이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 휴식, 문화, 레저를 즐기는 공간으로 확대되면서 탄생하게 된 용어입니다. 쉬코노미 쉬코노미는 '그녀(She)' 와 '경제(Economy)'의 .. 2023. 9. 9.
부동산 용어 모음.zip (역전세,패닉바잉,줍줍,몸테크,초품아) 부동산 용어 깡통전세 깡통전세는 집가격과 전세가격이 같거나 집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높아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운 집을 뜻합니다. 통상적으로는 주택담보대출금액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집가격의 70%를 넘어가면 깡통전세로 보고 있습니다. 역전세 역전세란 현재 전세가격이 전세보증금보다 낮은 현상을 말합니다. 역전세가 발생하는 이유는 입주할 때보다 집값이 하락하거나 전세금이 인상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특히 계약만료 시점에 역전세가 발생한다면 집주인은 전세금을 돌려줄 여력이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영끌 영끌은 '영혼까지 끌어모은다'라는 뜻으로 집을 사기 위해 모든 대출과 자금을 동원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아파트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빨리 매수해야 한다고 느낀 30~40대가 대출.. 2023. 9. 7.
청년도약계좌 9월 신청 및 유의사항 (청년희망적금 비교) 목차 1. 청년도약계좌 - 신청기간 및 금리 - 가입조건 2. 청년도약계좌 유의사항 3.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1.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금리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가입신청을 통해 가입이 가능합니다.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고 2~3주 내에 심사하여 승인이 되면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가입신청은 취급은행 앱 등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요건 확인 후 조건에 부합하면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9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2023. 9. 5.
소액 재테크 파킹통장 알아보기 (뜻, 금리, 장단점) 목차 1. 파킹통장 뜻 - 활용하기 2. 파킹통장 금리 - 이자 계산 방법 - 은행별 이자 비교 3. 파킹통장 장단점 파킹통장 파킹통장은 주차를 의미하는 'parking'과 통장을 합친 용어로, 수시입출금식 예금입니다. 주차를 하듯 자유롭게 자금을 운용하여 일반 통장보다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요. CMA통장과 유사합니다. *CMA통장 : 예금주로부터 예탁금을 받아 투자를 하고 투자 수익금을 이자로 제공하는 계좌 파킹통장은 비상금으로 쓸 돈이나 목돈을 장기간 예치하지 않고 단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요. 인터넷뱅킹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1금융권보다 높은 이율의 상품을 토대로 고객 유치에 나서면서 활성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파킹통장은 일반 예금보다 이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자유로운 자금 이동.. 2023. 9. 4.
토큰증권과 토큰증권발행(STO) 합법화 목차 1. 토큰증권이란? 2. 토큰증권의 특징 및 장점 3. 토큰증권발행(STO) 합법화 4. 토큰증권의 현황 토큰증권 토큰증권은 실물자산이나 금융자산의 지분을 작게 나눈 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큰형태로 발행하는 증권을 말합니다. 이때 토큰이란 특정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가상자산을 뜻합니다. 금융위원회가 2023년 2월 5일 발표한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에 따르면 토큰증권은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것으로 실물증권·전자증권에 이은 새로운 발행 형태의 증권을 말합니다. 이러한 토큰증권을 발행·유통하는 것을 STO(Security Token Offering)라고 하는데요. 블록체인의 특징인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하여 자본시장법에서 사용되는 증권을 디지털화하는.. 2023. 9. 2.
어닝서프라이즈, 피크아웃 뜻 - 투자 성공하는 주식 용어 목차 1. 어닝쇼크 / 어닝서프라이즈 2. 피크아웃/ 바텀아웃 어닝쇼크 / 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 먼저 '어닝(earning)'은 기업의 실적을 뜻하는데요. 분기/연간에 돈을 얼마나 많이 벌었는지를 의미합니다. 어닝쇼크(earning shock)는 기업이 발표한 영업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훨씬 저조하여 주가에 충격을 준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이며 실적 충격이라고도 합니다. 영업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저조한 경우에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며(어닝쇼크), 영업 실적이 시장의 예상치보다 좋으면 기업의 실적이 저조하더라도 주가는 오르기도 하죠.(어닝 서프라이즈) 통상적으로 어닝쇼크는 예상보다 저조한 실적을 가리킵니다. 하지만 어닝쇼크임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 2023. 9. 1.
중국 부동산 디폴트 위기 원인 - 한국경제 영향은? 목차 1. 중국 부동산 위기 - 중국 부동산 디폴트 사태 - 중국 금융권 위기 2. 중국 부동산 위기의 영향 - 중국 경제 영향 - 한국 경제 영향 중국 부동산 위기 중국 부동산 위기는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디폴트 사태'를 시작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동산 시장의 위기가 금융권으로까지 전이되며 '중국판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부동산 디폴트 사태 지난 8월 7일, 중국의 초대형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이 채권 이자 2,250만 달러(약 300억 원)를 갚지 못해 디폴트 위기에 빠졌습니다. 비구이위안 뿐만 아니라 다롄완다, 원양집단, 위안양그룹 등 중국의 여러 부동산업체들이 잇따라 디폴트 위기에 빠졌다는 사실이 전해지며 중국 부동산 시장이.. 2023. 8. 31.